티스토리 뷰

전송과 교환

교환: 갈림길에서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경로 선택

전송: 물리적으로 1:1 연결된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전송 방식 종류

점대점 방식

  • 호스트들이 물리적으로 1:1 형식으로 연결
  • 주로 WAN 환경에서 사용
  • 연결 수가 증가하면 성능적인 면은 유리하지만 비용이 증가됨

브로드캐스팅 방식

  • 호스트들이 공유 전송 매체에 연결
  • 주로 LAN 환경에서 사용

 

멀티포인트 통신

유니포인트/유니캐스팅: 하나의 수신 호스트와 연결/하나의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

멀티포인트/멀티캐스팅: 다수의 수신 호스트와 연결/다수의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

멀티포인트 유니캐스팅

  • 유니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일대다 통신을 지원
  • 호스트 a가 호스트 d, e, f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3번의 송신 절차가 필요
  • 수신 호스트의 수가 증가하면 성능에 문제점 발생

멀티포인트 멀티캐스팅

  • 송신 호스트는 한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여러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브로드캐스팅

  •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 전송
  • 자신을 목적지로 하는 호스트만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고, 다른 호스트는 데이터를 무시
  • 호스트가 많을수록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

 

네트워크 접속 형태

형태 종류: 성형, 버스형, 링형, 트리형, 그물형, 혼합형

 

성형

  •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
  • 모든 노드가 중앙의 허브에 연결되어 통신망의 처리 능력과 신뢰성은 허브가 좌우
  • 배선 문제 발생 시 해당 노드에만 영향을 줄 뿐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버스형

  • 모든 네트워크 노드와 주변 장치가 파이프 등의 일자형 케이블에 연결된 형태
  • 하나의 긴 케이블이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중추 네트워크 역할
  • 케이블의 시작과 끝에 터미네이터라는 장치를 붙여 신호가 케이블로 되돌아오는 것을 막음

트리형

  • 성형의 변형으로 중앙에 있는 전송제어장치에 트리 형태의 전송제어장치를 연결해 노드들을 연결하는 형태
  • 상위 계층의 노드가 하위 노드들을 직접 케어하는 계층적인 네트워크에 적합

링형

  • 모든 노드를 하나의 링으로 연결하는 형태
  • 각 노드는 인접한 노드 두개와 연결되며, 전체 네트워크는 하나의 원을 형성
  • 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순 링형,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이중 링형이 있음

그물형

  • 모든 노드가 상호 간에 점대점 형태로 연결된 형태
  • 그물형에서는 n(n-1)/2개의 물리적 채널이 필요하다 (n: 노드 수)
  • 많은 통신회선이 필요해 비용은 많이 들지만 신뢰성이 높아 중요한 네트워크에서 사용

혼합형

  • 노드 수가 상대적으로 큰 실제 네트워크에서 사용
  • 네트워크 서브넷이 서로 연결되어 규모가 큰 접속 형태가 되도록 여러가지 접속 형태를 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