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버퍼링과 스풀링
CPU는 매우 빠르게 연산하지만, 입출력 장치는 상대적으로 느려 유휴시간이 발생버퍼링과 스풀링은 모두 입출력 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로 발생하는 유휴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법 버퍼링(Buffering)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임시 저장 공간인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일반적으로 RAM 안의 버퍼(buffer) 영역에 저장 - 실시간 처리를 위해 속도가 중요해 주기억장치에 저장동영상 스트리밍, 오디오 재생실시간 처리에 유리, 속도 차이 보완, 연속성 유지스풀링(Spooling)입출력 작업을 임시 저장 공간인 스풀에 저장한 뒤,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보조기억장치) 안의 스풀 영역에 저장 - RAM보단 느리지만, 많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프린터 ..
카테고리 없음
2025. 4. 4. 21:0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tartsWith()
- 네트워크 접속장치
- 자료처리시스템
- 엑셀 파일 추출
- replaceAll
- Java
- 운영체제 특징
- 컴퓨터 시스템 구성요소
- 온라인처리
- 운영체제
- 스코프
- fsd 아키텍처
- useeffet
- StringBuilder
- 호이스팅
- 렌더링 과정
- 콜백 큐
- 운영체제 유형
- 네트워크
- 대소문자 변환
- 자료구조
- 접속형태
- 블록스코프
- SQL 개발자
- SQLD
- 프로그래머스
- fsd 구조
- 중첩스코프
- 구성형태
- Repla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