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3Q85/btsEmUe5NY5/H7DuhHvpwzartgM53QPk4k/img.png)
Welcome 페이지 만들기 (도메인만 있을시 나오는 첫페이지) resources/static/intext.html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Welcom Page 기능 static/index.html 을 올려두면 Welcom Page 기능을 제공한다. thymeleaf 템플릿 엔진 thymeleaf 공식 사이트 : https://www.thymeleaf.org/ 실행 : http://localhost:8080/hello 동작 환경 그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L4mk/btsEhXdrObC/FnLi3k7USNfOTP6z1Wh4Q0/img.png)
추가한 라이브러리 외에도 수많은 라이브러리를 확인할수있다.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들을 함께 다운로드 한다. *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 * spirng-boot-starter-web spring-boot-starter-tomcat spring-webmvc spring-boot-starter-thymeleaf :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View) spring-core spring-logging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의존 * 테스트 라이브러리 * spring-boot-starter-test junit : 테스트 프레임워크 mockito : 목 라이브러리 assertj : 테스트 코드를 좀 더 편하게 작성하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spring-test : 스프링 통합 테스트 지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iiXm/btsEjFXABEY/QqXYmQOWK9mAkkTJ6Onsok/img.png)
프로젝트 생성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View 환경설정 빌드하고 실행하기 프로젝트 생성 사전준비물 Java 17 설치 IDE : IntelliJ 또는 Eclipse (IntelliJ 설치)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에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build.gradle dependecies : 프로젝트 생성시 추가한 라이브러리 (thymeleaf) (spring-web) repositories : 라이브러리를 불러올(다운받을) 사이트 - mavenCentral plugins : 스프링 부트 버전 확인 Java : Java 버전 확인 HelloSpringApplication Project JDK is not defined File -> Project Structure(C..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47S3/btsEfnbtq1H/wkLbzULZUZ7hH20GkX6FHK/img.jpg)
JetBrains사에서 제작한 사용 자바 통합 개발 환경(IDE) Community Edition - 무료 버전, 상용 버전에 비하여 일부 기능이 제한됨. Ultimate Edtion - 상용 버전, 모든 기능 제공, 30일 무료 체험 가능 1. [Next] 클릭 2. 설치 경로 저장 후 [Next] 클릭 Create Desktop Shortout : 바탕화면 바로가기 생성 Update Path Variable : 설치한 프로그램의 bin 폴더 경로를 윈도우 환경변수 PATH에 자동 추가 Update Context Menu : 프로젝트로 폴더 열기 메뉴 추가 Create Associations : 사용할 언어 확장자 선택 (자바.java) 5. 시작 메뉴 폴더 지정, 'JetBrains'인 채로 두고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ot77/btsEiAVbjwT/oeFSmj4YFThPP5yukKWE71/img.png)
로그(log)는 소프트웨어의 이벤트를 기록하는 것으로써, 소프트웨어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 동작 파악을 통해서 소프트웨어의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즉, 소프트웨어의 디버깅이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곳에 사용되는데 기존의 Debugger나 println에 비해 로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황별 level을 지정하여 level별 메세지를 선택가능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흐름과 에러 확인 가능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쉬운 사용환경 조성 가능 모듈 별로 유연하게 메세지 출력 가능 자유로운 출력 위치 및 다양한 출력 형식 지원 Java에서는 이러한 로그에 대해 여러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 로깅 프레임워크에는 slfj4j, log4j, l..
- Total
- Today
- Yesterday
- SQL 개발자
- replace와 replaceAll의 차이점
- SQLD
- 대소문자 변환
- nodelist
- Object.clone()
- 호이스팅
- fsd 아키텍처
- 배열 만들기3
- Replace
- 중첩스코프
- Java
- 렌더링 과정
- n 번째 원소부터
- fsd 구조
- 프로그래머스
- 엑셀 파일 추출
- 콜백 큐
- 브라우저의 기본 구조
- 블록스코프
- 배열만들기1
- startsWith()
- 문자열 반복하기
- rep;ㅁce
- replaceAll
- 스코프
- 마진과 패딩의 차이점
- 신입개발자 면접 준비
- StringBuilder
- useeffe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